SI (System Integration)

미래 교육 인프라의 시작, TGS 스마트 교육환경 구축

TGS는 디지털 전환 시대에 발맞춰, 교육 현장에 최적화된 학교 스마트기기 및 통합망 구축 및 유지관리 서비스를 통해 스마트 교육의 기반을 설계하고 있습니다.
단순한 스마트 기기 보급 및 네트워크 설치를 넘어, 안정성과 확장성을 갖춘 디지털 학습 생태계를 구축하고 유지관리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스마트 교육 환경 구축 서비스는 전국 유치원, 초·중·고교 및 교육청 산하기관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통합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 스마트기기 구축 및 유지관리,
    양품화 서비스 제공

  • 학교 자산 통합관제 시스템 운영
    (IT 자산 및 사용 모니터링 포함)

  • 스마트기기 보급과 연계한
    무선망 최적화 및 보완 인프라 구축

  • MDM, LMS, 디지털 교과서 등
    교육 플랫폼과의 연동 서비스 제공

핵심 경쟁력

  • 01
    전국 규모의 SI 구축·운영 경험

    전국 17개 시·도 교육청 대상 프로젝트 수행 실적

    무선 AP, 백본망, 서버실 등 다양한 환경에 맞춘 최적화 기술 제공

  • 02
    지속 가능한 유지보수 체계

    장기 계약 기반의 유지보수 및 양품화 사업 운영

    테크센터, 디지털 튜터, 전담 테크매니저 운영으로 현장 대응 역량 확보

  • 03
    확장성과 연동성을 고려한 설계

    클라우드 학습 플랫폼, 전자교과서, AR/VR 콘텐츠
    등과의 연계 가능성 고려

    기존 인프라와의 통합을 통해 교육청 예산의 효율적 활용 가능

  • 04
    보안성과 안정성을 겸비한 스마트 교육 환경 조성

    학생 단말기 접근 제어, 웹사이트 차단, 시험 중 부정행위 방지 등
    정책 기반 제어 기능

    통합 관제 기능을 갖춘 시스템을 통해 학습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

  • 단기 (2025년)

    전국 보급률 99% 목표 달성 지원

    교육청별 스마트기기 보급에 따른 맞춤형 School Net 연계 제안

  • 중기 (2026~2028년)

    AI 기반 학습 환경 확대에 대응하는 유연한 네트워크 구조 구축

    지역별 통합관제센터 연계 운영

    중기 (2026~2028년)
  • 장기 (2029년 이후)

    디지털 교실, AI 튜터, 원격협업 학습 등 차세대 스마트교육 인프라 중심 기업으로 도약

    지속가능한 공공교육 디지털 생태계 구축의 파트너로 자리매김

주요 성과

2022 ~ 2024 년 기준 총 계약 금액 약 3,087억원 달성

전국 17개교육청 대상 대규모 사업의 성공적인 수행

KT 및 LGU+등 전략적 컨소시엄을 통한 안정적 수행력 확보

TGS는 전국 어디서나, 공공과 기업의 IT 환경을 안정적으로 운영합니다.

TGS는 안정성, 신속한 대응, 그리고 지속 가능한 IT 운영 역량을 기반으로 30여 년간 IT 서비스 전문성을 축적하였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전국의 공공기관과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OA기기부터 서버, 네트워크, IT 자산 전반에 이르는 통합 유지보수 및 운영대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TGS School Net 서비스는 전국 유치원, 초·중·고교 및 교육청 산하기관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통합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 OA기기 유지보수

    프린터, 복합기, 스캐너 등 사무용 단말기에 대한 정기 점검 및 장애 대응 서비스 제공

  • 서버 및 네트워크 장비 운영관리

    전산실 내 서버, 라우터, 스위치, UPS 등 핵심 IT 인프라의 안정적인 운영 및 성능 유지 지원

  • IT장비 통합 유지보수 운영

    고객 환경에 맞춘 방문형, 상주형, 순환형 등 다양한 운영 방식으로 유연한 서비스 제공

  • 자산관리 및 수명주기(Lifecycle) 컨설팅

    IT 자산의 이력 기반 관리, 연차별 장비 교체 계획 수립 및 업그레이드 전략 컨설팅 제공

TGS의 차별화 포인트

  • 01
    전국 단위 통합 서비스 인프라 구축

    전국에 배치된 전문 기술 인력과 물류 거점을 기반으로 전 지역 대응 체계 확보

    서울·수도권은 물론, 지방 소재 공공기관에도 상주 인력 배치 및 운영 경험 다수 보유

  • 02
    공공기관 중심의 검증된 실적 레퍼런스

    중앙부처, 지자체, 공기업, 군부대, 교육기관 등 다양한 공공 고객 대상 서비스 수행

    대표 사례: 우정사업정보센터, 서울시립대학교, KGC인삼공사, 한국수자원공사, 육군본부, 해병대사령부, KBS, LH공사 등

  • 03
    지속 가능한 유지관리 및 고도화 체계

    단순 장애 대응을 넘어, 사전 예방점검, 정기 리포트 제공, 운영 고도화 컨설팅 포함

    고객사의 업무 연속성(BCP) 확보에 기여하는 전략적 운영 프레임 구축

  • 04
    SLA 기반의 신속 대응 및 품질 관리 체계

    고객사 SLA(서비스 수준 협약)에 따른 정해진 대응 시간 및 품질 기준 철저 이행

    KPI 기반의 정량적 성과 관리를 통해 서비스 품질의 일관성과 투명성 확보

WHY TGS?

공공 IT 환경은 단순한 기술력이 아닌, 높은 보안성, 엄격한 규정 준수, 그리고 신속한 대응력이 요구되는 특수한 영역입니다.
TGS는 이러한 기준을 충족하는 동시에, 비용 효율성과 서비스 품질을 함께 실현하며, 국내 유수의 공공기관 및
대기업의 신뢰받는 IT 운영 파트너로 자리매김해왔습니다.

적용 대상 고객군

  • 중앙정부·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 전산운영부서

  • 대규모 IT 자산을 운용 중인
    대기업 및 금융기관

  • 보안, 상주 인력, 복합 장비 운영 요건을
    요구하는 군부대 및 교육기관 등

TGS는 단순한 ‘유지보수 용역사’가 아닙니다.
귀 기관의 IT 환경을 함께 설계하고 최적화하는 전략적 파트너입니다.

AI를 위한 가장 완성도 높은 실행 파트너, TGS

TGS는 실행 중심의 AI 서비스 기업입니다.
AI 디바이스 실사용 환경 구축부터 AI 모델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 가공,
현장 운영 및 유지관리 서비스까지 End-to-End 기반의 통합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TGS의 AI Service 구성

  • 데이터 전처리 및 라벨링 서비스

    AI 학습용 텍스트, 이미지, 음성, 영상 데이터의 정제·라벨링·검수

    고도화된 워크플로우를 통한 데이터 품질 향상 및 납기 보장

    공공기관, 제조, 헬스케어, 교육 등 산업 특화 라벨링 포맷 지원

  • 전문 라벨러 매칭 플랫폼 운영

    라벨러 POOL 기반의 자동 매칭 시스템 운영

    프로젝트 성격에 맞는 인력 구성 및 품질 기반 성과 관리 체계 확보

  • AI 디바이스 서비스 & 유지보수

    TG 제조 디바이스에 대한 설치, 설정, 사후 서비스(A/S) 전담

    실시간 원격 점검, 하드웨어 교체, 현장 대응 포함

    사용자 교육, 시스템 연동, 클라우드 설정 등 디바이스 기반 지원 체계 구축

  • AI 현장 적용 및 솔루션 운영 지원

    AI 솔루션 구축 후 실제 환경에서의 운영지원 및 문제해결

    전산 시스템과의 통합 운영, 사용자 피드백 수집 서비스 개선 제안 등

WHY TGS?

  • 디바이스-유통-서비스를 통합 제공하는 TG Alliance의 중심축

  • 40만 건 이상 전산장비 유지보수를 수행한 전문 기술력

  • 전국 단위 운영 인프라를 통한
    빠른 대응과 SLA 기반 운영

  • 공공기관/대기업 대상 검증된
    품질과 보안 기준 충족

TGS AI 서비스는
이런 고객에게
적합합니다

AI 개발에 필요한 고품질 데이터셋 확보가 필요한 기관

전문 라벨링 인력을
직접 관리하기 어려운 기업

AI 디바이스 설치 및 현장 운영까지 통합된 관리가 필요한 프로젝트

실제 서비스 운영 후
모니터링·유지보수까지 고려한 기관 및 연구소

서비스 적용 분야 예시

"TGS는 AI 생태계의 시작과 끝을 연결합니다.
고객의 AI를 현장에서 현실로 구현하는, 실전형 AI 서비스 파트너입니다."

  • AI 교육/학습 서비스: 교육용 AI 디바이스 및 라벨링 지원
  • 스마트팩토리/제조 AI: 산업영상 분석용 데이터 정제, 검수
  • 공공 AI 정책 과제: 민감 정보 비식별화, 음성·텍스트 학습데이터 구축
  • AI 콜센터: 챗봇/음성 인식 학습용 다국어 라벨링